1. Argand Diagram Plot, 아르간 선도
주파수 응답함수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한 방법으로, 주파수 응답함수의 실수 및 허수부를 각각 가로 및
세로축으로 하여 그리는 방법이다.
제어 시스템에 대한 전달 특성을 주파수 응답 형태로 나타내어, 공진 주파수 근처의 특성을 쉽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르간 선도는 복소수 선도이다.
라 하면 x 축을 허수 축으로 하는 평면 플롯에서 파선 원은 z의 복소 계수 │z│를 나타내며, 각 θ는 위상
을 나타낸다. 이를 나이키스트 선도라고도 한다.
피드백 자동 제어계의 일순 전달 함수의 주파수 응답을 벡터 궤적으로 나타낸 그림으로 자동 제어계의 임의의 점에서
열거하고, 얻어지는 주파수 전달함수의 특성을 나타내기도 하며 신호가 피드백함으로써의 증감 여부를 알 수 있다.
나이키스트의 안정 판별법으로서 피드백 자동 제어계의 안정도를 판별할 때에도 쓰인다.
2. Campbell Diagram, 캠벨 선도
회전수 변화에 따른 계의 주파수 특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수평축에는 회전수(rpm), 수직축에는 주파수(Frequency)를
표현하고 주파수에 해당하는 스펙트럼의 크기는 원 또는 사각형의 크기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때로는 3차원 그림은 Waterfall Plot, 또는 Cascade Plot 등으로 표현하는데, 이 경우에는 수평축에 주파수,
수직축에 크기를 표현하고, 제 3의 축을 설정하여 회전수(rpm) 또는 속도를 나타내며,
그 중 회전수인 경우를 캠벨선도라 부르기도 한다.
3. Critical Speed, 위험 속도
터빈, 발전기 등 회전체에서 회전자가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는 속도로 회전하면 공진 현상이 유발되어 회전체가
상당히 위헌함 상황에 도닥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위험 속도라 하며, 회전체 운전 시 위험 속도보다
낮은 영역에서 운전 하든가 아니면 가능한 한 빠리 위험속도 영역을 탈풀하여 위험 속도 이상에서 운전하도록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