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고사성어는 절차탁마 (切磋琢摩)입니다.

============================================================================
절차탁마 (切磋琢摩)
1. 한자
切 : 끊을 절
磋 : 찬탄할 차, 갈 차
琢 : 쫄 탁
摩 : 갈 마
2. 뜻
돌을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학문이나 기예를 힘써 수양한다는 뜻
3. 이야기
공자의 제자 중에서 자공은 그 언변과 재기가 뛰어나 많은 사랑을 받고 있었다.
하루는 자공이 공자에게 질문했다.
" 스승님 가난하더라도 남에게 아첨하지 않으며 부자가 되어서도 교만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그사람은 대체
어떤 사람일까요?"
" 좋은 사람이다. 하지만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기고 부자가 되더라도 예를 좋아하는 사람만은 못하느니라."
" [시경]에 이르기를 '선명하고 아름다운 군자는 뼈나 상아를 잘라서 줄로 간것 처럼(切磋) ,
또한 옥이나 돌을 쪼아서 모래로 닦은것 처럼(琢摩) 밝게 빛나는 것 같다.'고 하였는데
이는 선생님이 말씀하신 ' 수양에 수양을 쌓아야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옵니까?"
" 자공아, 기특하도다! 과거의 것을 알려주면 미래의 것을 안다고 했다.
너야말로 하나를 가르쳐 주면 둘을 알 수 있는 인물이구나."

============================================================================
반응형
'상식 > 상식_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문전성시 (門前成市) 이야기 (0) | 2022.02.17 |
---|---|
[고사성어] 와신상담 (臥薪嘗膽) 이야기 (0) | 2022.02.09 |
[고사성어] 연목구어 (緣木求魚) 이야기 (0) | 2022.02.03 |
[고사성어] 조삼모사 (朝三暮四) 이야기 (0) | 2022.02.02 |
[고사성어] 사이비 (似而非) 이야기 (0) | 2022.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