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한국사_조선왕조

[조선 왕조] 제 7대 세조. 수양대군, 영화 관상의이정재 역활, 경국대전의 시작

by 깜장스 2021. 10. 1.
반응형

조선의 왕을 알아보는 일곱 번째 세조! 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출처 : 나무 위키

1. 생애

1417 ~ 1468년

 

이도의 둘째 아들.

 

2. 재위 기간 

1455 ~ 1468년

 

3. 휘 (諱) (임금의 이름)

이유

 

4. 묘호 (왕실 제단인 종묘에서 모시는 신주를 부르는 호칭)

세조

 

5. 이야기

영화 관상에서 이정재가 받았던 역할이죠(참 재미있게 봤던 영화)

 

 

 

조카에게 양위를 받은 왕의 자리지만, 거의 뻇은거나 다름이 없었음. 

 

그로니 주변에서 좋은 눈빛으로 바라보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단종 복위 운동 그리고 사육신 / 생육신]

 

단종이 상왕이 된지 1년 만에 성삼문, 박팽년 등을 중심으로 단종 복위 운동이 일어남.

 

그들은 운동을 일으키기 전에 단종에게 이 소식을 알렸고, 단종도 동참을 함.

 

그런데!! 배신자가 있었음.(내부 고발자라고 해야 하는가?)

 

그래서 주모자들이 끌려가서 추국과 고문을 받음.

 

단종 복위 운동을 하다가 6명의 충신(성삼문 포함) 목숨을  잃음

 

이들을 사육신이라 부름

 

※ 사육신 :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성원, 유응부

 

그리고 상아는 있으나 세상을 등지고, 장애를 가진 척, 죄책감을 갖고 살았던 사람들을 생육신이라 부름

 

※ 생육신 : 김시습, 원호, 이맹전, 조려, 성담수, 남효은

 

그리고 단종을 귀양을 보내고 후에 또 다른 복위 운동을 보고는 사약을 내렸다고 함.

 

[인간적인 남자]

 

조카를 죽이는 등의 잔인한 면이 있지만, 효자이고 부인을 많이 아꼈다고 함.

 

그리고 술을 좋아했다고 함.

 

[종교는 불교]

 

아버지 세종과 마찬가지로 불교를 좋아했음.

 

특히 말년에는 더욱 심취함.

 

그래서 불경을 번역하고 간행하는 기관인 간경도감을 만들었음.

 

그리고 원각사에 원각사지 10층 석탑을 세움 (종로의 탑골공원 자리에 있음, 석탑은 국보 제2호의 유형 문화재)

 

 

[업적]

 

6조 직계제 시행 (태종이 했던 것을 다시 실행_왕권 강화가 목적이겠죠)

 

그리고 단종 복위 운동을 했던 사육신이.. 집현전 학자니까... 집현전을 없애 버립니다.

 

역적의 소굴 같았겠죠.

 

그리고 지방 민회를 담당하는 유향소도 폐지함.

 

그리고 왕의 경연도 별로였는지 폐지함.

 

세조의 가장 위대한 업적인 경국대전을 편찬

 

조선만의 법전을 편찬하는데, 성종 때 완성이 되지만.... 시작은 세조 때 시작함. 

 

(즉 착수 자라는 것이죠)

 

세조 이야기는 여기까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