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고사성어는 계륵 (鷄肋)입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7.gif)
============================================================================
계륵 (鷄肋)
1. 한자
鷄 : 닭 계
肋 : 갈빗대 륵
2. 뜻
먹자니 먹을 것이 별로 없고, 버리자니 아까운 닭갈비란 뜻으로 쓸모는 없으나 버리기는 아까운 것을 일컫는 말
잘 이해가 안 갈 수도 있어 상세히 이야기해보자면, 닭의 갈비뼈 쪽 살은 닭다리처럼 부드럽고 쫄깃해 꽤 맛있지만,
갈비뼈의 구조상 살을 발라 먹으려면 손이 많이 가는데 정작 고기의 양은 얼마 되지 않는다.
치킨이나 백숙 등을 먹을 때 나오는 닭의 갈비뼈를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유사한 우리말 속담으로는 "저 먹자니 싫고 남 주자니 아깝다."가 있다
3. 이야기
후한 말 위나라의 왕인 조조는 대군을 이끌고 한중으로 원정을 떠났다.
한중으로 진출하기 위해 유비의 군대와 사생결단을 벌이려는 것이었다.
(서기 219년, 한중에서 조조가 유비와 격전을 벌이는 때)
싸움은 장기간 계속되었다.
그런데 유비의 군사는 제갈량의 지혜로 보급에 어려움을 격지 않았으나, 조조의 군대는 내부 질서도 문란한 데다
배가 고파 도망치는 군사가 속출해서 공격과 수비 모두 불가능한 상태였다.
어느 날, 신하 한 사람이 후퇴 여부를 묵기 위해 조조를 찾았는데,
마침 닭고기를 뜯고 있던 조조는 닭갈비만 들었다 놨다 할 뿐이었다.
( 재미있게도 조조는 평소에 닭고기에 한방 재료를 넣고 만든 보양식을 챙겨 먹으며 건강관리를 했는데,
이를 후세에 '조조 닭'이라고 불렀다. 어째 닭 하고 꽤나 연이 있는 듯하다.)
이 말을 전해 들은 양수는 서둘러 후퇴 준비를 시키기 시작했다.
당황하여 어쩔 줄 몰라하는 참모들이 그 이유를 묻자 양수는 이렇게 대답했다.
" 닭갈비는 먹자니 먹을 게 별로 없고, 버리자니 아까운 것이지요. 지금 전하께서는 한중을 그런 닭갈비 같은 땅으로 여기신 듯합니다.
철군을 결심하신 것이 분명하오"
과연 조조는 양수의 예상대로 며칠 수 한중에서 전군을 철수시켰다.
실제 정사를 살피면, 양수는 한중에서 돌아와 몇 달이 지난 뒤에 참수되었으므로 조금 차이가 있다.
군기를 어지럽혔다는 명목으로 처형했지만,
실질적인 이유는 조조의 셋째 아들 조식한테 철저히 브레인 겸 실드 역할을 하며 위나라 후계자 다툼에
적극적으로 개입했기 때문에 조조의 눈 밖에 났다. 즉 정치적 라인을 잘 못 탄 것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8.gif)
============================================================================
'상식 > 상식_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연목구어 (緣木求魚) 이야기 (0) | 2022.02.03 |
---|---|
[고사성어] 조삼모사 (朝三暮四) 이야기 (0) | 2022.02.02 |
[고사성어] 사이비 (似而非) 이야기 (0) | 2022.01.26 |
[고사성어] 백면서생 (白面書生) 이야기 (0) | 2022.01.24 |
[고사성어] 각주구검 (刻舟求劒) 이야기 (0) | 2022.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