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고사성어는 백면서생 (白面書生)입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
백면서생 (白面書生)
1. 한자
白 : 흰 백
面 : 얼굴 면
書 : 글서
生 : 날 생
2. 뜻
오직 글만 읽고 세상일에 경험이 없는 사람.
바깥활동을 하지 않고 오직 집에서 글만 읽고 세상 일에 경험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실전 경험이 부족한 이를 부정적으로 표현할 때에 사용된다.
백면랑, 백면서랑이라고도 한다. 다른 표현으로는 책상물림, 너드, 등도 있다
3. 이야기
때는 남북조 시대.
남조인 송나라 문제 때 심경지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무예를 닦아 기량이 매우 뛰어났다.
10세의 어린 나이에도 사병을 이끌고 반란군과 싸워 승리할 정도로 유명한 장수였다.
40세 때 그는 이민족의 반란을 진압한 공로로 장군이 되었다. 이 후 효무제때는 도읍을 지키는 방위 책임자로 승진했고
그 후에도 많은 공을 세워 변경 수비군의 총수로 부임했다.
어느 날 효무제는 숙적인 북위를 공격하기 위해 문신들과 회의를 열었다. 그리고 이 자리에 심경지를 불렀다.
심경지는 북벌 실패의 전례를 들며, 무리한 공격은 좋지 않다고 반대했다.
이어 효무제에게 이렇게 말했다.
" 폐하, 밭일은 농부에게, 바느질은 아낙에게 맡겨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 폐하께서는 적국과 싸우는 일을
백면서생과 논의하십니까? "
그러나 효무제는 심경지의 의견은 듣지 않고, 군대를 보냈고, 크게 패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8.gif)
============================================================================
'상식 > 상식_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연목구어 (緣木求魚) 이야기 (0) | 2022.02.03 |
---|---|
[고사성어] 조삼모사 (朝三暮四) 이야기 (0) | 2022.02.02 |
[고사성어] 사이비 (似而非) 이야기 (0) | 2022.01.26 |
[고사성어] 계륵 (鷄肋) 이야기 (0) | 2022.01.23 |
[고사성어] 각주구검 (刻舟求劒) 이야기 (0) | 2022.01.23 |